2부로 구성된 블로그 시리즈의 제 1부에서는 게임 마스터링에 접근하는 방식을 다루었습니다. 여기에서는 Mastering Suite에 담긴 여러 가지 프리셋을 언제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그 어떠한 프리셋도 게임을 적절히 마스터링할 수 없기 때문에 마스터링을 위한 프리셋의 개념은 약간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완전한 초기화보다는 조금 더 직관적이고 편리한 시작점이 될 수 있죠.
이 글에서 소개되는 프리셋은 정확히 그런 것들을 위한 것입니다. 최종 구성을 찾아나가는 시작점이 되는 것이죠. 이 프리셋은 Dolby Atmos가 호환되는 PS5에서 만들어졌으며 Wwise 2023.1.1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프리셋은 여러 다른 작품을 사용하여 제작되었으며 게임의 여러 가지 오디오 설정을 목표로 합니다. 물론 각 매개 변수를 미세 조정해야겠지만 원하는 목표를 위해 각 모듈을 재구성할 필요가 없기를 바랍니다.
이 프리셋은 마스터링 없이 통합된 라우드니스가 -24LUFS에 도달하며 처리 후에도 여전히 -24 LUFS(±2) 정도가 될 원시적 믹스를 처리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이는 컴프레션과 리미팅 등 모든 비선형적 처리에서도 중요한 고려 사항입니다. 믹스가 -24LUFS보다 낮거나 높을 경우 이에 맞는 조정이 필요할 것입니다.
참고: Wwise 2022.1.10과 2023.1.1에서 업데이트된 일부 Mastering Suite 프리셋에는 LFE, SL, HFL 채널에서 잘못되거나 불균형적인 Master Volume 게인이 있습니다. 이 글을 올바르게 따르려면 Wwise 2022.1.11/2023.1.2와 그 이후 버전을 사용해 설정해주세요. |
스튜디오에서 마스터링 프리셋을 조절하고 있는 단제리(Danjeli)와 로익(Loïc). 사진 출처: 알렉세이 스미스(Alexei Smith)
1 - Home Cinema (홈 시네마)
ShareSet: HomeCinema
홈 시네마 프리셋은 블로그 시리즈의 제 1부에서 제안한대로 안전 리미팅만 적용합니다.
이 프리셋은, 가장 효과적이고 현대적이며 투명한 사운드 모드로 고안된 Advanced Limiter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다른 모드 중 하나는 Hard 모드로, 하드 클리퍼이고 포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기본 리미터인 Soft 모드는 사운드를 펌핑하고 덜 투명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더 좋은 품질의 Advanced Limiter의 경우 48KHz에서 2.6ms의 작은 룩어헤드 레이턴시가 생기게 됩니다.
이 리미터는 True Peak 리미터가 아닙니다. 왜냐면 무시할 수 없는 더 큰 레이턴시가 생기기 때문이죠. 그렇기 때문에 스레숄드를 True Peak Maximum보다 낮게 설정하는 것을 고려해봐야 합니다.
게인 모듈은 활성화되어 있지만 상쇄값이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다른 모듈은 바이패스되지만 아래 설명된 것처럼 'HomeCinemaHeightBoost' 프리셋 설정으로 사전 구성되어 있습니다.
2 - Home Cinema Boost (홈 시네마 부스트)
ShareSet: HomeCinemaHeightBoost
이 프리셋을 사용하면 모든 모듈이 서라운드 및 Atmos 애플리케이션에 좋은 출발점이 되는 구성으로 설정됩니다. 이는 사운드가 좀 더 좋게 들리고 착색되는 약간 과장된 처리를 적용합니다 (그래서 이름에도 '부스트'가 들어있죠).
이 과장된 처리의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즉시 들을 수 있고 필요시 낮출 수 있어야 합니다.
- 새로운 사용자가 올바른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매개 변수를 설정해놓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설정은 균형 잡힌 믹스를 만들 수 있는 확률이 통계적으로 높습니다. 이 프리셋을 이용하면 이 설정이 여러분의 믹스에 잘 맞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손쉽게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죠.
이러한 설정이 사운드에 어떠한 도움이라도 된다면 잘 작동하고 있다는 지표가 될 것입니다.
사운드를 더 안좋게 만들 경우 각 모듈을 재구성할 필요 없이 게인을 쉽게 제로화할 수 있습니다.
의도
이 프리셋은 여러분이 서라운드 및 Atmos에서 게임을 마스터링할 때 고려해 볼 만한 단계의 조합을 제안하며, 다른 출력 형식과도 호환됩니다.
EQ
사운드를 좋게 만들어주는 하이파이 곡선 게인으로, 일반적인 목적의 마스터링을 위해 구성되었습니다.
6개의 모든 대역이 활성화되어 있으며 쉽게 조절할 수 있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1 - Low shelf - 낮은 주파수가 너무 가볍거나 무거울 경우 조정합니다.
2 - Low control - 붐붐거리는 소리를 줄이거나 무게를 가져오도록 조정합니다.
3 - Low mids control - 뭉쳐진 소리를 줄이거나 두께감을 더하기 위해 조정합니다.
4 - Midrange presence - 사운드가 너무 '코맹맹이' 소리를 낼 경우 이를 줄이거나 비어 있는 것처럼 들릴 경우 높입니다.
5 - High mids control - 거친 소리를 줄이거나 소리의 선명도를 높입니다.
6 - High shelf - 높은 소리가 너무 칙칙하거나 밝을 경우 조정합니다.
참고: 선반 게인은 아마도 너무 높게 설정되었을 것이기 때문에 게인을 줄여야 할 것입니다.
컴프레서
가벼운 다대역 '밀도 효과'용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컴프레션을 실험하는 데 흥미로운 출발점이 될 것입니다.
Partial 링크 모드를 사용하여 제 1부에서 설명한 서라운드/Atmos의 명확성을 보호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참고: 스레숄드와 비율이 아주 낮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또한 약간 더 높은 비율로 높은 스레숄드를 사용할 것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낮은 스레숄드/비율 접근 방식은 전반적인 믹스에 착색과 밀도감을 가져오는 흥미로운 방식일 수 있는 반면, 높은 스레숄드는 볼륨이 아주 큰 순간에만 적용되기 때문에 더욱 투명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접근 방식을 탐험해보세요!
게인
제 1부에서 권장한대로 측면/후면 서라운드 감쇠 및 천장 스피커 부스트를 적용합니다. 필요에 따라 조정하세요.
참고: 천장 스피커는 아마 너무 많이 부스트되어있을 것이지만 일부 작품에서는 좋은 엔벨로핑 효과를 생성합니다. 너무 과도하다 싶은 부분은 쉽게 찾아내어 낮출 수 있습니다.
리미터
Advanced 모드에서 안전 리미팅 설정으로 되어 있습니다.
3 - Night Mode and Night Mode Strong (야간 모드 및 강한 야간 모드)
ShareSet: NightMode 및 NightModeStrong
정의
Night Mode 프리셋은 보통 밤에 가족이나 이웃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아주 낮은 볼륨으로 스피커를 통해 듣는 플레이어를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게임 오디오는 아주 다이내믹하기 때문에 이 모드는 엄청난 컴프레션으로 조용한 순간도 낮은 볼륨에서 여전히 뚜렷히 들리고 큰 순간에서도 너무 시끄럽지 않게 해줘야 합니다. 정의에 따르면 이 모드는 과도한 컴프레션이 적용되며 투명한 사운드나 원본 믹스와 비교하여 높은 충실도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꽤나 재미있고 실험적일 수 있죠.
프리셋
Night Mode와 Night Mode Strong이라는 두 개의 Night Mode 프리셋이 있습니다. 이 프리셋들은 컴프레서에서 빠른 어택으로 강한 펌핑 효과를 나타내기 보다는 상대적으로 느린 어택을 사용하며 리미터를 통해 피크와 트랜션트를 잡아냅니다.
Night Mode Strong 프리셋은 아주 다이내믹한 작품에서 더욱 강한 '무차별한 강도'의 컴프레션을 통해 심지어 더 조용한 순간도 완전히 들리며 더 시끄러운 순간도 제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추가되었습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이 프리셋은 -24LUFS의 통합된 라우드니스 입력을 사용하며 -24LUFS (+/- 2 LU) 믹스를 제공하여 나머지 PlayStation 생태계와 일관적인 경험을 만들어냅니다. 게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 상황에 맞는지 꼭 확인하세요.
Night Mode: EQ와 Master Volume에서 낮은 주파수를 제거하며, 상대적으로 낮은 스레숄드에서 컴프레서와 리미터에서 Partial 링크를 사용합니다.
Night Mode Strong: 컴프레서와 리미터의 스레숄드가 더 낮으며 다이내믹 레인지를 훨씬 더 평평하게 만듭니다.
게인
서라운드 및 천장 스피커를 낮춰서 보통 전면 스피커에서 일어나는 중요한 동작 및 대사가 더욱 잘 들리게 해줍니다.
Night Mode는 주로 플레이어의 주변에 대한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고안되었기 때문에 LFE 채널은 뮤트됩니다. 원할 경우 다시 켜도 됩니다.
EQ
이러한 프리셋에서는 컴프레션이 엄청 강력하기 때문에 프리컴프레션 EQ를 사용하여 신호를 형성하여 톤 균형을 정의하기보다는 컴프레션 단계를 용이하게 합니다. 톤 균형은 컴프레서 대역의 보충 게인으로 더 잘 달성됩니다.
참고: 하이패스 필터가 사용되지만 컴프레션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저주파수가 끝에도 여전히 남아있게 됩니다. 하이패스 필터는 주로 컴프레션 전에 하위 주파수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컴프레서
예상대로 컴프레션이 아주 극단적입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합니다.
느린 어택, 낮은 스레숄드, 적당히 높은 비율을 사용하면 다른 방법보다 효과적이고 더욱 자연스러운 사운드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동작의 명확성을 보존하기 위해서 Link Mode가 높은 비율로 사용됩니다.
리미터
트랜션트를 적극 차단하기 위해 리미터가 사용되기 떄문에 (마치 두 번째 컴프레서처럼) 스레숄드가 아주 낮게 설정되어 있으며 보충 게인을 사용하여 전반적 레벨을 원하는 목표로 높여줍니다.
트랜션트가 특히 강하고 포화되었을 경우 컴프레서 어택 시간을 줄이거나 리미터 스레숄드를 높여야할 수 있습니다.
글을 마치며
Mastering Suite는 믹스를 더욱 멋지게 만들 수 있는 기회이며, NightMode처럼 게임 오디오 설정을 위한 도구입니다. 시간이 된다면 서로 다른 구성에 맞게 믹스를 맞춤화하고 조금 더 미묘한 마스터링 프리셋을 생성하여 더욱 나은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2부로 구성된 이 블로그 시리즈를 통해 여러분이 나중에 작업할 때 Mastering Suite을 사용해보고 싶은 마음이 생겼기를 바합니다. 또는 이미 사용 중이더라도 더욱 깊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기를 바랍니다.
이 플러그인은 무료이며 쉽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부와 2부에서 설명한 모든 것들을 직접 사용해볼 수 있습니다.
여러 오디오 팀들이 프로젝트에서 Mastering Suite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게 될 생각에 기대가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