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섹션들은 Wwise 버전 2019.2.12에서 2019.2.13 사이에 변경 및 개선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플랫폼 전용 정보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전 버전을 보시려면 이전 버전 릴리즈 노트 를 참고하세요.
새로운 기능
- WG-55780 FilePackager: 명령줄 툴에 -verbosity 옵션 추가. 큰 프로젝트의 신속한 패키징을 위해 메시지를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작동 방식 변경 사항
- WG-55367 Switch Group, State Group, 그리고 이들의 Switch와 State의 범용 식별자(GUID)가 SounbanksInfo.xml에 포함됨.
버그 수정
- WG-54043 수정됨: Interactive Music에서 States/Switches를 설정하는 Music Event 큐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크래시.
- WG-54291 수정됨: 멀티 코어 렌더링 사용시
AkPipelineBufferBase::GetCachedBuffer
에서 발생하는 크래시.
- WG-55183 수정됨: 긴 Vorbis 사운드를 작은 Seek Table Granularity로 재생할 때 발생하는 음원 고갈.
- WG-55371 수정됨: Effect가 있는 하위 컨테이너와 함께 샘플 단위 정밀 시퀀스 컨테이너를 재생할 때 발생하는 크래시.
- WG-55536 수정됨:
AK::SoundEngine::AddOutput
으로 2차 출력 추가 후, AK::SoundEngine::ReplaceOutput
으로 주요 출력이 교체되고 주요 Audio Device가 재설정할 때 발생하는 멈춤 현상.
- WG-55622 수정됨: Blend Container를 사용할 때 드물게 발생하는 크래시.
- WG-55740 수정됨: (Mac Authoring) Nuendo Game Audio Connect 가져오기가 'file not found'로 실패하는 문제.
- WG-55744 수정됨: Nuendo Game Audio Connect가 하위 디렉터리에서 해당 파일을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
- WG-55794 수정됨: SoundBank 생성이 기존 .bnk 파일과 다른 폴더에서 실행될 경우 기존 .bnk 파일을 삭제하지 않는 문제.
- WG-55798 수정됨: (Spatial Audio) 초기화되지 않은 변수로 인해 포털 경로에 일관성이 없는 문제.
- WG-56074 수정됨: 명령 대기열(command queue)이 실제로는 비어 있으나 Profiler에 Command Queue Size가 100로 보고되는 현상.
- WG-56110 수정됨: Wwise Motion에서 기본으로 선택된 버전이 Wwise의 버전과 가끔 다른 문제.
커뮤니티에 보고된 버그 수정
- WG-55009 수정됨: Blend Container를 사용할 때
CAkRTPCMgr::AkRTPCSubscription::PushUpdate
에서 발생하는 크래시.
- WG-55072 수정됨: CONVERT_OSCHAR_TO_CHAR 매크로 전용 메모리가 충분하지 않은 문제.
- WG-55206 수정됨: CAkAudioMgr::ReserveQueue 에서 드물게 발생하는 무한 반복 재생.
- WG-55365 수정됨: (WAAPI) "ofType"을 사용하는 쿼리가 클립보드에 있는 오브젝트를 반환하는 문제.
- WG-55616 수정됨: WEM Opus에 인코딩된 특정 음원 파일을 반복 재생하거나 탐색할 때 들리는 짧은 잡음.
- WG-55631 수정됨: (Mac Authoring) Wwise가 런처의 Project 탭에서 실행된 경우 Audio Input 음원을 추가할 때 발생하는 크래시.
- WG-55678 수정됨: ak.wwise.core.object.get WAAPI 쿼리의 "where" : "name:matches"에 유효하지 않은 정규 표현식을 사용할 경우 Wwise에서 크래시가 발생하는 현상.
- WG-55710 수정됨: 1GB보다 큰 SoundbanksInfo.xml 파일을 로딩할 때 File Packager에 발생하는 크래시.
- WG-55875 수정됨:
AK::SoundEngine::ExecuteActionOnPlayingID()
가 전역적 State 전환(transition)을 멈췄다가 재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