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버전
2022.1.18.8567
2024.1.3.8749
2023.1.11.8682
2022.1.18.8567
2021.1.14.8108
2019.2.15.7667
2019.1.11.7296
2018.1.11.6987
2017.2.10.6745
2017.1.9.6501
2016.2.6.6153
2015.1.9.5624
2024.1.3.8749
2023.1.11.8682
2022.1.18.8567
2021.1.14.8108
2019.2.15.7667
2019.1.11.7296
2018.1.11.6987
2017.2.10.6745
2017.1.9.6501
2016.2.6.6153
2015.1.9.5624
Wwise SDK 2022.1.18
|
info | 참고: 3인칭 시점 애플리케이션에서의 리스너 작업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3인칭 게임에서 Listener(리스너) 작업하기 를 참고하세요. 이 섹션은 특별히 Spatial Audio와 관련된 내용을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
Wwise Spatial Audio로 3인칭 시점(third-person perspective, TPP)을 작업할 때 주의해야할 점이 몇가지 있습니다.
Wwise Spatial Audio는 레이(ray) 기반의 음향 시뮬레이션 기술을 이용해 소리 전달을 계산합니다. 넓은 관점에서 Spatial Audio는, 사운드 이미터와 리스너 사이에 소리 전달 경로를 만들어내는 수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소리 경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에 영향을 받습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소리와 리스너간에는 많은 경로가 있으며, 이들이 합쳐져 최종적으로 렌더링된 사운드를 만들어냅니다. Spatial Audio에 대해 더 많은 일반적 정보는 Spatial Audio (공간 음향) 를 참고하세요.
TPP 환경에서는 카메라와 캐릭터 경험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이런 경우, 획일화된 법칙 하나만으로는 거리 감쇠를 렌더링하거나 Distance Probe에 따라 필터링하거나, 또는 카메라 위치에 따라 패닝/공간화를 하는 것이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음향 시뮬레이션을 위한 계산은 CPU를 많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Listener Game Object와 Distance Probe Game Object 둘 다 시뮬레이션하는것은 가능하지도 않지만 올바른 방법도 아닙니다.
그러나 Spatial Audio Listener에 Distance Probe를 할당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Wwise Spatial Audio가 일반적으로 작업하는 방식은 Listener 위치를 이용해 소리 전달을 계산합니다. 사운드 엔진에 전달되는 거리 값은 Distance Probe Game Object에 대한 경로가 계산된 경우 예상되는 소리에 더 가까운 결과가 나오도록 증가됩니다. 거리 값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경로의 타입에 따라 달라집니다. 리플렉션과 회절, 전달 경로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는 아래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공간화와 패닝이 항상 시뮬레이션을 충실히 반영하고 플레이어의 몰입감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Distance Probe의 위치와 Listener의 위치가 크게 다른 경우 감쇠 값이 다소 예상치 못한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Spatial Audio 기능을 사용할 때, 경로 계산 결과가 방해가 없는 일직선에 있는 경우, 감쇠 결과는 예상한 그대로 나오게 됩니다.
다음 섹션에서는 Distance Probe가 Spatial Audio Listener에 할당됐을 때 다양한 Spatial Audio 기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자세히 설명합니다.
Spatial Audio의 회절 시스템은 특정 사운드와 리스너에 대한 원본 신호 경로의 렌더링을 주로 관리합니다. 하나의 사운드에 여러 개의 회절 경로가 있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원본 신호 경로의 경우, 전달 경로가 항상 일직선이기 때문에 별다른 주의 사항 없이 전달되는 소리를 Distance Probe와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Spatial Audio의 리플렉션 시스템은 Reflect 플러그인을 사용해 사운드와 Listener의 초기 반사를 렌더링합니다.
원본 신호 경로의 회절 계산에도 사용되는 공간과 포털 시스템은, 리버브를 공간화하는 주요 방법입니다. 공간화된 리버브는 변조 신호 경로를 포함하며, 플러그인의 리버브 출력이나 Room Game Object에 바로 재생되는 룸 톤(room tone)으로 간주됩니다.
다음 Game Object 3D Viewer의 그림은 하나의 포털이 있는 공간의 예시입니다. 여기서는 Distance Probe와 Listener 둘 다 공간 밖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 | 거리: Distance Probe에서 포털의 가상 위치까지. 이 거리는 포털의 영향을 평가하는데 사용됩니다. |
![]() | 거리: Distance Probe에서 공간 범위까지. 이 거리는 Distance Probe와, 공간 범위를 정의하는 경계 상자 표면에서 이 Distance Probe를 가리키는 가장 가까운 지점 사이의 거리입니다. 이 거리는 전달 경로를 렌더링하는 데 사용됩니다. |
![]() | 방향: Listener에서 포털의 가상 위치를 향한 방향. 이 방향은 포털의 영향을 패닝하는데 사용됩니다. |
![]() | 방향: Listener에서 공간 범위를 향한 방향. 이 방향은 전달 경로의 영향을 패닝하는데 사용됩니다. |
*Game Object 3D Viewer Settings에서 Room Extent Opacity 슬라이더를 0보다 큰 값으로 설정하면 공간 범위 시각화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를 등록하세요. 아무런 조건이나 의무 사항 없이 빠른 시작을 도와드리겠습니다.
Wwise를 시작해 보세요